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 영자-
dc.date.accessioned2011-11-16T05:03:12Z-
dc.date.available2011-11-16T05:03:1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442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guidelines for terminal care in the emergency room. For these purposes, we surveyed 127 emergency nurses working at the emergency rooms of general hospitals with 200 or more beds in Gyeonggi‐do and having 3 months’ or longer experience,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1 to April 7, 2011.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with 23 questions developed by Kim Bun‐han, Kim Hong‐gyu and Tak Yeong‐ran (1997)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d another questionnaire with 16 questions based on the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 developed by Frommelt (1991), used by Cho Hye‐jin (2004),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7.0.
1. The mean score of the nurses’ perception of death was 3.61±0.35 out of 5, and the mean score of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was 2.90±0.31 out of 4.
2. The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wer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r=.471, p<.001).
3. As t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eath according to the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ception of death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5 years’ or longer clinical experience (F=3.53, p=.032).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dea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mergency room experience. That is, the perception of death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5 years’ or longer emergency room experience (F=5.37, p=.006).
4. As to difference in terminal care attitude according to the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terminal care attitude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less than 2 years’ clinical experience (F=3.62, p=.030). In addition, terminal care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mergency room experience. That is, terminal care attitude was most positive in nurses with less than 2 years’ emergency room experience (F=4.05, p=.020). Moreover, terminal care attitu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That is, terminal care attitude was most positive in nurses satisfied with their job (F=5.73, p=.004).
In conclusion, emergency nurses surveyed in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and their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wa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mong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experience and emergency room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death, and clinical experience, emergency room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terminal care attitude.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상자의 임종간호를 접하는 응급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응급실의 임종간호실무 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1년 3월 1일부터 4월 7일까지 경기도 소재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응급실에 근무하고, 3개월 이상 근무한 응급실 간호사 중 12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도구는 김분한, 김홍규와 탁영란(1997)이 개발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 23문항과 Frommelt(1991)가 개발한 임종간호태도에 대한 척도(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를 조혜진(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 16문항을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1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최대 5점에서 평균평점 3.61±0.35점으로 나타냈으며, 임종간호태도에서는 최대 4점에서 평균평점은 2.90±0.31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471, p<.001).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는 임상경력 5년 이상 경력간호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F=3.53, p=.032). 또한, 응급실경력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는데, 5년 이상 경력간호사 대상자에서 가장 긍정적인 점수를 나타냈다(F=5.37, p=.006).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의 차이에서는 임상경력이 2년 미만 경력간호사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가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F=3.62, p=.030). 또한, 응급실경력에 따른 임종간호태도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2년 미만 경력간호사 대상자에서 가장 긍정적인 점수를 나타냈다(F=4.05, p=.020). 직무 만족 정도에 따른 임종간호태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직무에 만족하는 간호사에서 가장 긍정적인 점수를 나타냈다(F=5.73, p=.004).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 중 임상경력과 응급실 경력에서 죽음에 대한 인식이 점수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임상경력, 응급실 경력, 직무만족도에서 임종간호태도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ⅲ

표차례 ⅵ

Ⅰ.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3

3. 용어의 정의4

Ⅱ. 문헌고찰

1. 죽음에 대한 인식 6

2. 임종간호 태도 8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11

2. 연구대상 11

3. 연구도구 11

4. 자료 수집 방법 12

5. 자료 분석 방법 13

6. 연구의 제한점 13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2.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인식과 임종간호태도의 기술통계 16

3.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 문항별 분석 17

4. 대상자의 임종간호 태도의 문항별 분석 19

5.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의 상관관계 21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 22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 24

Ⅴ. 논의 26

Ⅵ. 결론 및 제언 31

1. 결론 31

2. 제언 34

참고문헌 39

부록 39

ABSTRACT 45
-
dc.language.isoko-
dc.title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dc.title.alternative응급실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060-
dc.subject.keyword응급실간호사-
dc.subject.keyword죽음-
dc.subject.keyword임종간호태도-
dc.subject.keywordEmergency nurse-
dc.subject.keywordperception of death-
dc.subject.keywordterminal care attitude-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 영자-
dc.date.awarded2011-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1-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