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eri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gestational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ther Title
임신성 내당능장애 및 임신성 당뇨를 동반한 임신의 양상 및 주산기 예후
Authors
이, 원종 | 안, 성희 | 김, 행수  | 양, 정인  | 김, 윤석 | 오, 준환 | 한, 기수 | 오, 기석
Citat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4(6). : 1033-1039, 2001
Journal Title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SSN
0494-4755
Abstract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erinatal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gestational impaired glucose tolerance (GIGT)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Methods : We performed 50g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for GIGT and GDM screening in 4,367 pregnant women at 24-28 weeks of gestation. In 1,010 women with plasma glucose level over 130mg/dl, 753 women underwent 100gm OGTTs at 28-32 weeks of gestation. According to the NDDG criteria, 113 cases with GIGT (single positive level of OGTT ; group 2), 125 cases with GDM (group 3), and 515 cases with control (group 1) were identified among the 753 cases. Retrospective review of outcome of these patients was performed.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The incidence of GIGT and GDM was 2.7%, 3.0%. The prepregnant body mass index (21.4±3.0kg/m2, 21.3±2.8kg/m2, 23.2±4.1kg/m2), overweight of BMI over 26 (7.4%, 4.4%, 14.4%) and obesity of BMI over 30 (1.2%, 0.0%, 8.0%)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3 than group 1 (p<0.05). We defined poor maternal outcome as those suffering from any one of birth canal injury, hydramnios or oligohydramnios, preeclampsia, cesarean delivery due to cephalopelvic disproportion, dystocia, fetal distress. Group 3 showed most highest poor maternal outcome (22.3%, 28.3%, 39.2%, p<0.05). And we defined poor neonatal outcome as those suffering from any one of hyperbilirubinemia, hypoglycemia, congenital anomaly,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ue to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Group 2 and group 3 showed poor neonatal outcome than group 1 (6.2%, 13.3%, 21.6%, p<0.05). Conclusion : Pregnancies complicated with GDM showed poor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 and GIGT experienced no adverse maternal outcomes but showed poor neonatal outcomes compared to normal pregnancy, and showed less correlation with obesity than GDM. Further study of pathophysiology and proper management of GIGT will be mandatory.

목적 : 임신성 내당능장애 및 임신성 당뇨병이 동반된 임신의 양상과 주산기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4,367명의 산모에게 임신 24-28주에 임신성 당뇨병의 선별검사를 위하여 50gm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여 혈장 혈당이 130gm/dl 이상이면 임신 28-32주에 100gm 경구 당부하검사를 시행하였다. 선별검사 양성인 1,010명중 추적 관찰된 753명을 대상으로 NDDG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분류한 정상 산모 515명(1군), 임신성 내당능장애 산모 113명(2군)과 임신성 당뇨병 산모 125명(3군)의 주산기 예후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전체 산모중 2군 및 3군의 빈도는 2.7%, 3.0%이었다. 임신전 신체 질량지수(21.4±3.0kg/m2, 21.3±2.8kg/m2, 23.2±4.1kg/m2), BMI 26 이상의 과체중(7.4%, 4.4%, 14.4%) 및 BMI 30 이상의 비만(1.2%, 0.0%, 8.0%)의 빈도는 1군에 비해 3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산도손상, 양수과다 및 과소증, 자간전증, 아두골반 불균형이나 진행장애 또는 태아곤란증에 의한 제왕절개분만 중의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불량한 모성 예후로 간주하였고, 1군(22.3%)에 비해 2군(28.3%)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군(39.2%)에서는 높게 나타났다(p<0.05). 고빌리루빈혈증, 저혈당증, 선천성 기형, 신생아 호흡곤란증에 의한 신생아의 중환자실 입원, 주산기 사망 중의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불량한 신생아 예후로 간주한 결과 1군(6.2%)에 비해 2군(13.3%)과 3군(21.6%) 모두 불량한 신생아 예후가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 : 정상 산모군과 비교하여 임신성 당뇨병 산모군은 모성 예후 및 신생아 예후가 불량함을 보여 주었고, 임신성 내당능장애 산모군은 모성 예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신생아 예후가 불량함을 보였다. 또한 임신성 내당능장애 산모군은 임신성 당뇨병 산모군과 달리 기전적으로 비만과 관련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에서 임신성 내당능장애의 병인기전, 현성 당뇨병으로의 진행, 신생아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 등에 대해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edical Science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Obstetrics & Gynecology
Ajou Authors
김, 행수  |  양, 정인  |  오, 기석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