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Effects of Modified ACT Program for the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Other Title
중증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을 위한 한국형 ACT(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Authors
김, 영희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Doctor (2012)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재활모형을 근거로 중증 정신장애인 대상 정신재활을 위한 한국형 ACT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1단계와 개발된 한국형 ACT 프로그램을 중증 정신장애인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파악하는 2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 연구방법을 보면, 중증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위한 한국형 ACT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정신재활모형에서 도출된 개념과 문헌고찰을 통해 ACT 기반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통해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내용에 대해 자문을 받았으며,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은 20명의 중증 정신장애인에게 적용하여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검증을 통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보완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단계 효과검증에서는 개발된 한국형 ACT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 8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정신보건센터에 등록하는 중증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한국형 ACT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인 실험군 32명, 대조군 31명에게 사전조사,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정신과적 증상 수준, 사회적 기능수준, 삶의 만족도 수준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independent t-test,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형 ACT 프로그램은 직접 서비스, 다학제간 팀접근, 지역사회 현장서비스, 24시간 접근성, 맞춤형서비스, 가족지원을 포함한 지역사회 자원과의 협력이라는 운영원칙을 실행하면서 사례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증 정신장애인에게 적극적 지역사회 치료를 제공하는 사례관리로 6개월 중재 프로그램이다.
2, 프로그램의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정신과적 증상 수준 평가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비교에서 정신과적 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한국형 ACT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정신과적 증상 정도가 낮아질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회적 기능 총점 수준 평가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비교에서 사회적 기능 총점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형 ACT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사회적 기능 수준이 높아질 것이다??라는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사회적 기능의 하위영역별 결과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대인관계 수준, 독립성 수행 수준, 레크레이션 수준, 부차 사회적 활동 수준, 독립성 능력 수준의 평가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삶의 만족도 총점 수준 평가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비교에서 삶의 만족도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로써 ??한국형 ACT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라는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삶의 만족의 하위영역별 결과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의식주 수준,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 수준의 평가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중증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을 위한 한국형 ACT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과성 검증을 통해 정신과적 증상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ACT 프로그램은 중증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 중 하나로 실무에 확대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Doctor
Ajou Authors
김, 영희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