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Korean Emergency nurses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유, 혜라 | - |
dc.contributor.author | 임, 두희 | - |
dc.date.accessioned | 2013-12-09T05:32:25Z | - |
dc.date.available | 2013-12-09T05:32:25Z | - |
dc.date.issued | 201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8530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대학 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를 조사하고, 두 개념의 관계를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방안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2년 9월 29일부터 10월 11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600병상 이상의 3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1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로 직무스트레스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응급실 간호사의 근무 중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명선(201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업무성과는 고유경, 이태화와 임지영(2007)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점수는 3.68점으로 나타났고, ‘보호자와 환자와 관련된 사항’ 3.98점, ‘업무상황과 관련된 갈등’ 3.84점, ‘의사와의 갈등’ 3.79점 순이었다. 2.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 평균점수는 3.51점이며, ‘업무수행능력’이 3.64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과정적용’이 3.22점으로 가장 낮았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급여, 응급실만족도, 간호직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만족도에서는 ‘절대 만족하지 않는다’의 군이 ‘만족한다’의 군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직 만족도에서는 ‘매우 불만족’의 군이 ‘그저 그렇다’, ‘만족한다’의 군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연령, 현교육상태, 총임상경력, 응급실경력, 밤근무수, 간호직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5세 이하의 군이 26~30세 이하, 31세 이상의 군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낮게 나타났고, 현교육상태는 학사학위취득중인 군이 3년제 졸업 군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높았다. 총임상경력에서는 14개월 이하의 군이 15~60개월 이하, 61~120개월 이하, 121개월 이상의 군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낮게 나타났으며, 응급실 경력에서는 12개월 이하의 군, 13~36개월 이하의 군이 61개월 이상의 군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낮게 나타났다. 월당 밤 근무수에서는 6개 이상의 군이 5개 이하의 군보다 간호업무성과가 낮게 나타났다. 5.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간호업무성과 향상 및 간호의 전문성 확립을 위하여 꾸준히 교육 및 훈련에 임하고 간호사로서의 책임과 역할 증대를 위하여 노력하지만 실제 임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간호사의 역할이 전문적 가치 기준에 맞지 않아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느끼게 되어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방안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로 되며, 간호업무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 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하여 임상에서 간호 전문가로서 확고한 위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국문요약 ⅰ
차례 ⅳ 표차례 ⅵ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3 Ⅱ.문헌고찰 A. 직무스트레스 4 B. 간호업무성과 8 C.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 10 Ⅲ. 연구 방법 A. 연구 설계 11 B. 연구 대상 11 C. 연구 도구 11 D. 자료 수집 방법 12 E. 자료 분석 방법 12 F. 윤리적 고려 13 G. 연구의 제한점 13 Ⅳ. 연구결과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 B.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 정도 17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 19 D.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25 Ⅴ. 논 의 27 Ⅵ. 결론 및 제언 33 참고문헌 35 부록 42 ABSTRACT 51 표 차 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17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 18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20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 23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 26 | - |
dc.language.iso | ko | - |
dc.title | Job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Korean Emergency nurses | - |
dc.title.alternative |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432 | - |
dc.subject.keyword | 응급실 간호사 | - |
dc.subject.keyword | 직무스트레스 | - |
dc.subject.keyword | 간호업무성과 | - |
dc.subject.keyword | Job stress | - |
dc.subject.keyword | Job performance | - |
dc.subject.keyword | Korean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대학원 간호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임, 두희 | - |
dc.date.awarded | 2013 | - |
dc.type.local | Theses | - |
dc.citation.date | 2013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