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Relationship between Post-stroke Fatigue and Daily Activities

Other Title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
Authors
최, 민아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13)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post-stroke fatigue and level of daily activities in patients undergoing rehabilitation treatments in a rehabilitation hospital.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0, 2011 to April, 29, 2012. The post-stroke fatigue and level of daily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Fatigue Severity Scale (FSS) and 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Index.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s post-stroke fatigue and level of daily activities were a 3.24 out of 7, and 12.43 out of 21, respectively.
2. The post-stroke fatig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 = -.224, p = .016) whit level of daily activities
3. The post-stroke fatig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ime of onset (p = .002), area of paralysis (p = .006), and the number of accompanied symptoms (p = .020).
4. The level of daily ac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 <.001), sex (p = .018), time of onset (p = .026), area of paralysis (p < .001), number of recurrent attacks (p < .001), and the number of accompanied symptoms (p < .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t-stroke fatigue correlation to level of daily activity.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a mediating nursing program reduce post-stroke fatigue in order to improve level of daily activities.

본 연구는 재활 병원에 입원하여 재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를 파악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 병원에 입원한 환자 총 115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2012년 4월 29일까지 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한국형 일상생활 지표(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와 Fatigue Severity Scale(FSS)를 사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est, ANOVA 및 Sché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졸중 후 피로는 최대 7점에 평균 3.24점으로 나타났고, 일상생활기능은 최대 21점에서 평균 12.43점으로 나타났다.
2.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은 음의 상관관계(r = -.224, p = .016)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뇌졸중 후 피로 정도가 높을수록 일상생활기능이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뇌졸중 후 피로는 발병시기(p = .002), 마비부위(p = .006), 동반증상 개수(p = .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기능은 연령(p <.001), 성별(p = .018), 발병시기(p = .026), 마비부위(p < .001), 발병횟수(p < .001), 동반증상 개수(p < .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뇌졸중 후 피로와 일상생활기능과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상생활기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뇌졸중 후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최, 민아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