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Factors affecting the Pain & Disability of the Low back pain patients

Other Title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uthors
문, 경미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05)
Abstract
This study is the factive and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ain & disability of the low back pain patients. The subject of research is collected from 84 patients who were proved the disease through MRI(magnetic resonance image)at the neurosurgery unit at A university Hospitals in S city, Korea, and were admitted to hospital with low back pain, radiating leg pain and lumbar spine lesio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2004 to march 30, 2005, and were comprehended by the individual interviewees who had the factors affecting the pain and disability of the low back pain patients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pain index and functional disorder in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Visual analoque scale(VAS) and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by fairbank(1980), and these data were proceeded by using SPSS/WIN version 11.5
The result of these study analysis were followed as below:
1. The pain index and functional disorder in accordance with age, academic background, medical history, state of marriage and occupation had no significantly similar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e data showed the tendency women more appeal the pain than men in a gender, and women wer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by statical in the functional disorder.(t=-2.251, p=.05).
2. The pain index and functional disorder in accordance with smoking rate had no significantly similar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this subject was investigated significantly higher figures than general people in Korea by statical.(p=.000).
3. The pain and functional disorder in accordance with anthropometric factors of body had no significantly similar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both men and women showed the tendency that increasing body mass index(BMI) and waist-hip ration(WHR) has an effect of appearing higher the pain and functional disorder. The body mass index(BMI) and waist-hip ration(WHR) rate of this subject was investigated significantly higher figures than general people in Korea by statical.(p=.000).
4. The pain and functional disorder in accordance with diagnosis, chief symptoms, motor change and sensory change had no significantly similar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research clusters, but they were investigated that the pain progressing chronic symptom appeared the serious pain and functional disorder.
In conclusion, we could verify that gender, smoking status, body mass index(BMI), waist-hip ration(WHR) and pain period affect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ain and disability of the low back pain patients.

본 연구는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 소재 A대학병원 신경외과에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여 기질적 병변이 발견되고, 요통 및 하지방사통을 주소로 입원한 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6월 3일부터 2005년 3월 30일 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개별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통증지수와 기능장애는 Visual analogue scale(VAS)과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ODQ)로 측정 하였으며, 자료들은 SPSS/WIN version 11.5를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 학력, 과거병력, 결혼상태, 직업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에 따른 통증정도는 여자가 7.46±1.66, 남자가6.89±1.66으로 여자가 통증을 더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장애에서 여자가 62.31±19.84, 남자가 51.95±20.79로 통계학적으로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2.251, p=.05).
2. 남성에서 흡연여부에 따른 통증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t=-2.198, p=.034), 우리나라 일반성인에 비하여 연구대상자의 흡연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
3. 신체계측적 특성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둔부둘레비가 증가함에 따라 통증과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고, 우리나라 일반성인에 비하여 연구대상자의 BMI와 WHR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
4. 대상자의 진단명, 주증상, 근력이상, 감각이상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통증기간과 하지직거상에 따른 통증과 기능장애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통증기간이 짧을수록, 하지직거상 정도가 낮을수록 통증과 기능장애를 더 호소하였다. 또한 통증이 만성화되더라도 중증이상의 통증과 기능장애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성별, 흡연, 체질량지수, 허리-둔부둘레비, 통증기간이 요통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촬영상 요추의 기질적 병변이 있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연구대상자를 확대하여 반복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2. 흡연,체질량지수,허리-둔부둘레비를 요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인식하여 금연 및 체중관리를 요통환자의 조기예방교육에 기초 자료로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문, 경미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