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stage of change for the screening of mammography for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and to identify mean differences of processes of change and decisional balance at each stage of change. Two hundread eighty six middle-aged women living in Gyunggi-Do were recruited from July 16 to August 31 in 2007. To identify the stage of change, I used a Rakowski’s single question which consisted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relapse, action, and maintenance. Process of change and decisional balance were measured using a Rakowski’s scale(1996,1997) for mammography.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Window Program(Ver. 13.0).
Summery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 of the stage of change was pre-contemplation 17.5% (50/286), contemplation 24.8% (71/286), relapse10.1% (29/286), action 28.0% (80/286), and maintenance 19.6% (56/286).
2. Among the processes of change,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 ca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all stages of change. The processes of chang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were commitment to regular screening,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inking beyond oneself, except general perception of health care system.
3. Score of pros in decisional balance was strongest in the stage of maintenance, the next were action, contemplation, relapse, and pre-contemplation. The highest score of cons was showed in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and followed by the stage of relapse, action, contemplation and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bove, it seems necessary to having staged education program along the stages of change for commitment of mammography for screening breast cancer.
본 연구는 유방암 조기발견을 위한 중년여성의 유방사진촬영 검진 행위에 대한 선택단계를 파악하고, 단계별 변화과정과 의사결정균형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7월 16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286명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을 하였다. 유방사진촬영 검진 행위의 변화단계는 Rakowski(1993)의 단일문항이며, 변화과정과 의사결정균형은 Rakowski(1996,199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 for window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방사진촬영 검진행위 변화단계는 계획 전 단계 50명(17.5%), 계획단계 71명(24.8%), 퇴보단계 29명(10.1%), 행동단계 80명(28.0%), 유지단계 56명(19.6%)으로 나타냈다.
2) 유방사진촬영 행위단계별로 사용하는 변화과정은 모든 변화단계에서 정보공유와 의사소통(M = 3.38, SD = .74)이 가장 높게 사용되었다. 변화단계별 변화과정의 차이는 검진에 대한 책임의식, 정보공유와 의사소통, 지지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의료기관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의사결정균형에서 이득적 요인(Pros) 점수는 유지단계에서 가장 높았고 행동단계, 계획단계, 퇴보단계, 계획 전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적 요인(Cons) 점수는 계획 전단계에서 가장 높았고 퇴보단계, 행동단계, 계획단계, 유지단계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유방암 조기검진을 위한 유방사진촬영 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차별화 된 교육이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