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Factors affecting abortion and stillbirth in female healthcare workers:Based on the 2017 survey for the healthcare workers

Other Title
보건의료 여성노동자의 유산과 사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17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Authors
김, 윤경
Department
보건대학원
Degree
Master (2019)
Abstract
The birth rate of Republic of Korea, one of countries rapidly entering into super-aging society,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ed and resulted aggregate birth rate of 1.052 babies(by KOSIS, 2017). As a consequence, Korean government is taking up active policy to promote childbirth. Healthcare industry requires high demand of female employees in childbearing age and has sensitive relationship with governmental policies promoting childbirth. However, those females are constantly exposed to harmful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radiation, various medicine supplies, disinfectant due to working conditions, and followed by shifts, overwork and emotional labor, it is hard to guarantee their right of pursuing happiness and right of privacy as a human being to conceive and maintain their pregnancy as constitution dictates. This research is based on a factual survey of healthcare industry employees of 2017, with 2,068 female subjects who has experience of pregnancy or childbirth within last three years, excluding a social factor, unweddedness, which artificially interrupts pregnancy and subjects over 50 years old. Factual survey items were set as variables to analyse odds ratio and factors affecting abortion and stillbirth of female employees in healthcare industry, while “sensing danger of negligent accidents during working hours” and “relevance of safety prevention education” were separately analyzed for convenience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of abortion and stillbirth was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s a resul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ge(χ2=18.177, p=0.000) and continuous service period(χ2=16.380, p=0.001)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ortion and stillbirth; among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maternity leave usage(χ2=10.497, p=0.005), sensing danger of negligent accidents during working hours(χ2=4.013, p=0.045) and relevance of safety prevention education(χ2=3.969, p=0.046)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ortion and stillbirth. Setting a group has no experience in abortion and stillbirth as a control group, variables - age, continuous service period, maternity leave usage, sensing danger of negligent accidents during working hours, relevance of safety prevention education – that confirmed with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bortion and stillbirth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rol group. Including work pattern being studied as an interest variable in precedent researches that have shift workers as subject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he result showed the following: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χ2=35.448, p=0.000); odds ratio of abortion and stillbirth of 40s was 2.224 times higher than 20s(95% CI=1.119~4.420); abortion and stillbirth of subjects who did not use maternity leave had odds ratio of 1.329(95% CI=1.054~1.675) higher than those who did. It is confirmed that maternity protection of female employees in healthcare industry needs to be protected in detail. Researches on businesses that have no labor union is necessary, using well-planned questionnaire. To resolve factors affecting abortion and stillbirth, discussion and positive governmental actions are required.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어 2017년 합계출산율이 1.052명으로 조사되었고(KOSIS, 2017), 정부는 적극적인 출산 장려정책을 통해 출산율을 높이고자 노력 중에 있다. 보건의료업은 가임기 여성노동자의 수요가 많은 대표적인 산업으로, 정부의 출산 장려정책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보건의료직종 근로환경 특성상 방사선, 각종 의약품, 소독제 등의 물리화학적 유해인자에 꾸준히 노출되고, 교대근무, 육체적 과로, 감정노동 등으로 인해 보건의료 여성노동자들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임신을 하고 임신을 유지할 수 있는 인간으로서의 행복 추구권과 개인의 신체자유결정권의 보장이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7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3년 내 임신·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중 인위적으로 임신을 중단 시킬 수 있는 사회적 요인인 미혼과 50대 이상 대상자를 제외한 2,068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보건의료 여성노동자의 유산과 사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오즈비를 분석하는데 실태조사 설문지 구성 항목을 변수로 하였으나, 업무시 안전사고 위험을 느낌과 예방교육의 적절성 항목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으로 나누어 유산과 사산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연령(χ2=18.177, p=0.000)과 직장근속기간(χ2=16.380, p=0.001)이 유산·사산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업적 특성에서는 육아휴직 사용 유무(χ2=10.497, p=0.005), 업무시 안전사고 위험을 느낌(χ2=4.013, p=0.045), 안전사고 예방교육의 적절성(χ2=3.969, p=0.046)이 유산·사산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유산·사산 경험이 있는 군과 유산·사산 경험이 없는 출산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유산·사산과 유의한 관련성이 확인 된 변수인 연령, 직장근속기간, 육아휴직 사용 유무, 업무시 안전사고 위험을 느낌, 안전사고 예방교육의 적절성과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으나 교대근무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들에서 관심 변수로 연구되는 근무형태를 포함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회귀모형이 유의하였고(χ2=35.448, p=0.000), 20대에 비해 40대의 유산과 사산의 오즈비가 2.224배(95% CI=1.119~4.420) 높았으며, 육아휴직을 사용한 대상자에 비해 사용하지 않은 대상자의 유산과 사산의 오즈비가 1.329배(95% CI=1.054~1.675)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결과, 보건의료 여성노동자들의 모성보호가 좀 더 구체적으로 보호되어질 필요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향후 더 잘 계획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노동조합이 없는 사업장으로의 확장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유산과 사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논의 및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Ajou Authors
김, 윤경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